제품코드 | G040801 | |
---|---|---|
판매 회사명 | 윈텍프로세스 | |
연락처 | 02-2612-8406 | |
홈페이지 | - | |
제품홍보관 | http://blog.yeogie.com/aichitokei |
![FLOW SWITCH](http://yeogie.com/prodFiles/201406/D987SNV92LU.jpg)
![]() | |
![]() 비철금속파이프의 외측에서 파이프내에 흐르는 액체를 정전용량식센서 에 의해 간접적으로 검출 할 수 있으므로 특히 부식성이 강한 유체나 파티클 제로 공정에 적합합니다. ![]() ![]() 사용하기 어려운 곳에 적합 ![]() ![]() ![]() ![]() ![]() 맥주공급기, 사진현상기 의료기기, 주방기기, 세정기, 제수기, 오수처리장치에 적합합니다. ![]() 공회전 방지용으로 적합 | |
![]() |
형식 | WSD-1A | WSD-1B | WSD-1C | WSD-1D |
![]() | ![]() | ![]() | ![]() | |
접속구경 | R1/4(8A) | R3/8(10A) | R1/2(15A) | R3/4(20A) |
최대유량 | 호칭경에 비례 | |||
압력손실 | 없음 | |||
센서방식 | 정전용량방식(비접촉방식) | |||
설치자세 | 수직(수평설치불가) | |||
동작표시 | LED Lamp (적색) | |||
용 도 | 펌프 공회전방지(부식성이 높은 액체), 부식성이 높은 액체의 단수검지, 순수의 단수검지 등 ※1 | |||
사용전압범위 | DC12∼24V | |||
소비전류 | 15mA이하 | |||
출력형상 | NPN 오픈콜렉터 N.O DC30V 50mA Max | |||
보호회로 | 역접속보호, 서-지흡수 | |||
절연저항 | 100㏁(DC500V 메가 단자-케이스간) | |||
내전압 | AC1000V 50/60Hz 1분간 (단자-케이스간) | |||
내구진동성 | 10∼55Hz 진동폭 1.5mm X, Y, Z 방향 각2ch | |||
내구충격성 | 500m/s² X, Y, Z 방향 각2회 | |||
주위온도영향 | 0∼50℃의 범위에서 23℃시 검출거리의 ±15%이하 | |||
전압변화영향 | 정격전압의 ±10% 범위에서 정격전압시 검출거리의 ±2%이하 | |||
사용온도범위 | 0∼50℃ | |||
보존온도범위 | -20∼75℃ | |||
사용습도범위 | 35∼95%RH | |||
보호구조 | IP66(IEC규격) | |||
무게 | 30g | |||
케이스재질 | 본체: PVC 센서: AS수지(흑색스모그) | |||
코드길이 | 1m | |||
배관재질 | PVC, 테프론(Option) |
※ 1. 특수 액체의 경우 종류에 따라서 검출 감도가 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 |
![]() |
![]() |
![]() |
![]() | |
검출전극과 제2전극에 단형발생회로에서 펄스를 인가합니다. 검출전극이 유전체를 검출하면 단형파의 가속과 감속 지연시간이 발생합니다. 이 지연분을 검출하여 비교회로에서 판정하고 검출 신호를 출력 합니다. 그림1의 종래센서에서는 용기내면에 흐름층이 있으면 전극과 흐름층간에 전위차가 생겨, 흐름층에 전류가 흐릅니다. 이 결과 흐름층은 검출전극의 대향 전극이 되므로 센서는 흐름층을 검출하고 있습니다. 그림2에서 나타낸 신개발 센서는 검출전극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제2전극이 구성되어 있어서 제2전극은 | ![]() |
보조 전극으로서 역할을 하고 보조전극 전계의 영향으로부터 검출전극의 검출동작을 억제하므로 용기내에 잔류층과 오염층이 있는 경우에 오동작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검출 전극과 액체가 대향한 경우 전극과 액체간에 대지간의 용량이 크게 변화화여 센서는 액체를 검출합니다. |
![]() |
![]() |
![]() |
![]() |
'측정/계측/검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otohelic Pressure Switch/Gage with Integral Transmitter (0) | 2014.06.17 |
---|---|
전자식소형유량센서 (0) | 2014.06.17 |
소형유량센서 (0) | 2014.06.17 |
초음파유량계 (0) | 2014.06.17 |
유량적산유니트 (0) | 201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