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털여기에

신창정공.png



고무성형 업계의 선두 자리 지켜온 신창정공(주)


1977년 7월, 신창산업사로 시작해 40여 년 긴 세월동안 오직 고무금형 및 고무성형기를 개발·생산해온 신창정공(주)(이하 신창정공)은 기술력, 서비스 등 어느 하나 빠질 것 없는 경쟁력으로 고무성형 업계에서 선두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국산 제품이 전무했던 시절부터 고무금형을 개발하기 시작한 동사는 수동고무성형기를 통해 본격적인 기계 제작에 돌입했고, 이후 수직진공사출고무성형기, 실리콘주입장치, 브라다용 사출성형기, 자동진공고무성형기, Oil Seal용 자동진공고무성형기 등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며 국내 고무성형기 역사의 맥을 함께 해왔다.
신창정공의 김용하 회장은 “설립 이래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제품 개발에 심혈을 기울였다”며 “아울러 생산 공정 자동화 실현, 체계적인 품질 시스템 확립, 선진기술 도입 등 양질의 제품생산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그들의 성장 비결을 말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동사는 1999년에 우수자본 재개발유공자 국무총리상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ISO9001 인증을 획득했다. 또한 고무성형 기술에 대한 다수의 특허 및 실용신안을 등록하며 제품의 경쟁력 확보에도 발 빠르게 움직였다.
최근 신창정공은 ‘SC’라는 브랜드를 통해 장기 성장의 발판도 마련하고 있다. 2010년, (주)신창엠텍을 설립해 소재 사업에도 뛰어들면서 △신창정공(기계) △에스씨피(금형) △신창엠텍(소재) 3개의 계열사 체제를 통해 SC 브랜드를 런칭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킨 것이다. 2013년 초에는 대구 성서공단 3차단지로 공장을 확장·이전하며, 기존에 분리되어 있었던 계열사들을 통합할 수 있는 사업장도 마련했다. 이러한 신창정공의 대규모 사업 행보는 국내 고무성형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신창정공인물.png


노즐 길이를 줄여 고무성형기의 경쟁력을 높이다!


신창정공의 고무성형기는 타 제품과는 다른 독보적인 특징이 있다. 그 특징 중의 하나가 바로 수직진공사출고무성형기의 노즐 길이다.
동사의 제품은 신개념 진공장치가 적용되어 노즐 길이가 타사 제품보다 짧다. 노즐 길이가 길면 고무 사출 시 부하가 발생해 고무의 성질이 변화될 수 있는데, 동사의 고무성형기는 이를 최소화해 노즐이 길어서 발생되는 스코치(Scorch)가 적다. 따라서 제품의 재현성이 높고, 불량률도 낮다. 또한 노즐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사출 속도가 더욱 빨라져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이는 특허로 등록되어 동사의 경쟁력을 높여주고 있다.
이 외에도 수직진공사출고무성형기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채용, 다양한 운전조건 저장 기능과 동작/고장 상태 메시지 등록 기능이 있어 향후 동일품목 운전 시 쉽고 빠르게 세팅이 가능하며 동작 상태 및 고장에 대해 신속하게 조치할 수도 있다.
이처럼 고객 편리성을 높인 제품 개발로 신창정공은 고객들에게 높은 신뢰를 받고 있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오랫동안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력, 더불어 일본 DAIHAN과의 기술제휴 및 기업부설연구소 운영 등 신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로 고객 요구에 따른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 덕분에 지금의 신창정공이 있는 것”이라고 동사의 경쟁력을 전했다.


신창정공1.jpg

브라다용 사출 성형기



고무성형기도… 고무금형도… 국내 ‘으뜸’


기계 제작과 더불어 신창정공의 또 하나의 자랑은 고무성형기에 장착될 고무금형을 자체적으로 개발한다는 점이다.
이는 제품의 정밀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설비와 금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초기에 고무금형 제조 기업으로 설립했기 때문에 금형 기술력에 있어서도 자신이 있다”는 김용하 회장은 “직접 금형을 제작하기에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공급할 수 있고, 사후 관리 부분에 있어서도 빠른 대응이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도 있어 여러모로 장점이 많다”고 전하며, 고무금형과 고무성형기 제작이 동시에 가능한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서 가장 쉽고 빠른 토털 솔루션을 통해 고무성형 고객들의 경쟁력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있음을 어필했다.


신창정공2.jpg


직원들의 사기 높이고! 기업 이미지도 높이고!


신창정공의 사업장은 고무성형기 제조업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내부가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고, 넓은 주차공간과 멋진 조경으로 쾌적한 환경이 조성되어 글로벌 기업 이미지를 풍기고 있다. 이는 김용하 회장의 경영철학에서 비롯되었다. “공장 현장이 깨끗하고 청결해야 양질의 제품이 나온다. 그리고 항상 정리정돈을 생활화해야 안전사고도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그는 “이러한 정리정돈은 직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우리 회사를 방문하는 고객들에게 깔끔하고 잘 정돈된 분위기로 전문적이고 안정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는 회사의 이미지로 연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정리정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김용하 회장이 회사 이미지와 더불어 신경 쓰는 부분이 있다. 바로 직원 복지시스템으로, 최근 그는 성과급 제도를 시행하여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고 있다. 김 회장은 “직원들이 열심히 일하면 회사도 발전하게 된다”며 “서로 한마음 한뜻으로 항상 웃으면서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창정공제품.jpg

수직사출진공고무성형기



‘SC’ 브랜드 통해 장기 성장의 발판 마련


우수한 품질, 기술을 핵심 경쟁력으로 갖고 있는 신창정공의 2015년은 그 어느 때보다 남다르다.
대규모의 사업장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제는 SC 브랜드의 장기 성장을 위한 도약을 준비 중이기 때문이다.
김용하 회장은 “자동차 타이어부터 시작해서 전장품, 엔진 마운틴, 방진고무, 각종 실 종류 등 자동차 고무 부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기계와 금형을 모두 해결해줄 수 있는 곳은 신창정공밖에 없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편리함을 최우선으로 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SC 브랜드의 가치가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그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신창정공 고무성형기의 기술을 알림으로써 국가 경쟁력에도 이바지하는 한편, 틈새시장을 공략하여 사업을 확대시킬 계획도 밝혔다.
치열한 고무 성형 업계의 경쟁 속에서 차별화된 제품과 새로운 기술의 혁신으로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기업, 신창정공.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한 그들의 미래가 기대된다.


신창정공(주) http://rubbersc.com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신창정공(주), 고무부품 제조 산업의 토털 솔루션을 구현하다!
Posted by NO1여기에

(주)성진기계, 고무사출성형기 국산화로 다수의 특허와 실용신안 보유


1978년 설립된 (주)성진기계(이하 성진기계)는 고무사출성형기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동사는 자동고무사출성형기, 폴리머 사출성형기, 브라다사출성형기, APG 에폭시 사출성형기, LSR 사출성형기, 진공고무사출성형기, 일반고무사출성형기, 트랜스퍼성형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성진기계 김진욱 대표이사는 “설립 당시, 국내는 라이닝 성형기, 고무성형기를 벗어나지 못한 수준이었고, 고무사출기는 거의 수입에만 의존하는 실정이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기술력만으로 고무사출성형기를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연구개발을 극대화해 역수출을 도모하고자 했다”며, 회사를 설립한 동기에 대해 말했다.
설립 후, 성진기계는 제품 국산화에 주력해 다양한 고무사출성형기를 개발, 그 결과 이중 고무사출성형기, 액상진공사출성형기, 진공사출성형기 등의 특허와 7건의 실용신안을 보유하게 됐다.
또한 동사는 2000년도에 벤처기업으로 등록, 2001년에 이노비즈(INNO-BIZ) 기업에 선정됐으며, ISO 9001:2000 인증과 우수품질인증, 그리고 CE마크 및 안전인증마크도 획득했다.


성진기계인물.png


다양한 산업에서 활약하는  (주)성진기계


성진기계의 주 타깃산업은 자동차 분야다.
자동차 1차 벤더에 있는 고무사출성형기는 거의 성진기계의 제품일정도로 이쪽 분야에서는 동사의 인지도가 높다.
자동차 방진고무를 주로 생산하는 성진기계의 ‘자동고무사출성형기’의 특징은 전자비례제어시스템 채택으로 압력·속도가 설정치로 일정하게 자동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열판이 FCD-55 이상으로 주조되어 열변형이 없으며, 온도분포가 일정하고 히터단선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각 히터의 단선과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금형체결을 원터치로 체결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하열판에 볼트란스 유닛을 장착해 금형교환이 쉽도록 했고, 기계의 작동이 에너지 절약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자동차 산업에 주력한 성진기계가 1985년부터는 폴리머사출성형기를 통해 전기 산업에도 진출했다. 김진욱 대표이사는 “폴리머 애자(Polymer Insulator) 성형기계는 국내에서 수요가 적어 대부분 수입기계를 사용했고, 다른 사출성형기 업체들도 국산화에 신경쓰지 않았다”며, “성진기계는 기존 사출성형기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입기계보다 1/3 정도 저렴한 기계를 개발, 현재 이 분야에서도 거의 독점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동사는 폴리머사출성형기 개발에 성공한 다음, 이어 APG 에폭시 사출성형기도 개발해 특허출원을 했다. 성진기계의 질주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2000년 초부터 수입에 의존했던 타이어 및 튜브용 고무몰드를 생산하는 브라다사출성형기를 국산화했다.
현재 넥센타이어, 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 라인에 이 기계가 적용되어 있다.   


성진기계1.png

 

(주)성진기계, 최신 설비로 설계에서 납품까지 완벽 추구


고무사출성형기 업계에서 성진기계의 경쟁력은 바로 30년 역사에서 나온 기술력과 고객 신뢰성에 있다.
김 대표이사는 “자동차 모델이 계속 바뀌듯 성진기계도 기계 메커니즘을 끊임없이 개발하는데, 그 배경은 고객의 의견에 있다”며, “고객의 목소리와 우리의 생각을 합쳐 더 좋은 기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고 전했다.
계속 업그레이드된 동사의 고무사출성형기는 그만큼 내구성이 뛰어나 고장이 거의 없고 오래 쓸 수 있다.
“제품 품질력으로 먼저 고객들을 사로잡았고, 그 다음에 고객이 감동할 수 있도록 했다”는 김 대표이사는 “고객사마다 생산 제품에 따라 그리고 공장의 특징에 따라 기계를 맞춤형으로 제작하는데, 고객들이 몰랐던 부분을 먼저 맞춰주기 때문에 그들이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성진기계는 최신의 설비로 설계에서 납품, 그리고 A/S까지 완벽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정평이 나 있다.
동사는 경북 영천에 본사 및 공장이 있고, 경기도 안산에 서울 사무실이 있어 전국 각지에 있는 고객들의 A/S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계 모두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통신카드가 탑재돼 개인 PC와 연결되어 있어 사무실에서도 기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시스템화 되어 있는 A/S로 성진기계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다.


성진기계2.png


고무사출성형기 기술력을 해외에 널리 알릴 것!


성진기계는 ‘수출 중심의 기업 육성’을 올해의 목표로 삼았다.
김 대표이사는 “자동차 부품업계의 수출 및 수요 증대에 따른 일시적인 수요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나 계속적인 수요증대를 예상하기는 어렵다”며, “해외로의 진출을 확대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발 빠른 생각으로 동사는 1995년부터 인도네시아, 터키, 카이로, 뭄바이 등 해외 전시회에 꾸준히 참가했다.
현재 동사는 터키 등의 유럽지역과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아랍에미리트 연방에 기계를 수출하며, 2005년에는 ‘백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김 대표이사는 “우리의 기술력을 해외에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향후 목표를 밝혔다.
3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며 고무사출성형기 기술진보에 견인차 역할을 한 성진기계. 앞으로 세계에 우리의 기술력을 널리 알리는 기업으로서 끊임없이 성장하기를  기대해본다.


 (주)성진기계 www.sjkorea.net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주)성진기계, 최신의 설비로 설계에서 납품, A/S까지 완벽 추구
Posted by NO1여기에

코스모스1.png



경기도 화성에 새로운 보금자리 마련한 코스모스코리아(주)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사출기 메이커 Cosmos Machinery(이하 코스모스)를 본사로 두고 있는 코스모스코리아(주)(이하 코스모스코리아)가 2015년 2월 말, 경기도 화성(팔탄면 하저리 243-14)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약 1,300평 규모로 조성된 코스모스코리아 화성 공장은 AS센터 및 다양한 사출기, 주변기기 제품을 전시할 수 있는 전시장도 함께 마련됐다.
따라서 고객들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구매 상담을 받아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코스모스 브랜드의 성공적인 안착


중국 사출기 업계에서 역사가 깊고, 저력있는 대표 기업인 코스모스는 홍콩의 상장 기업인 Cosmos Machinery Enterprise Limited의 자회사로서, 중국 내 해외투자유치 1호 기업이다. 중국 남부와 동부에 생산 기지가 있으며, 사출기의 연구·개발은 물론, 압출 생산 라인/공정, 고무사출기, CNC 터릿 펀칭기 등 플라스틱, 고무, 판금 처리/가공 기기 등의 다양한 품목을 아우르고 있다.
중국 본토는 물론, 활발한 사업 영역으로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코스모스는 2012년 12월, 한국 지사가 설립되면서 국내에 본격적으로 소개되었다.
코스모스코리아의 윤여진 대표이사는 “사출기 산업의 변화를 몸소 익히면서 쌓아온 경영 노하우로 코스모스 브랜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다행히 코스모스 사출기가 가격은 물론, 성능 부분에서도 고객들에게 인정받아 현재 국내에서 인지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코스모스 본사에서는 연구 인력만 300여 명에 이르고 있어 사출기 업그레이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2002년부터는 일본 사출기 회사와 기술 제휴를 통해 1,000~3,500톤 규모의 기계를 제작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는 KCs 인증으로 사출기 안전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즉, 코스모스는 사출기 성능을 높이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으로 중국산 제품은 곧 저품질이라는 선입견을 보기 좋게 깨고 있는 것이다.


코스모스인물.png


Se Series, 30% 이상의 에너지 절감 실현


코스모스의 사출기는 Se Series GreenLine(이하 Se Series), UBE-COSMOS ST Series, 초대형 Two-platen 등 소형부터 초대형까지 제품군이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코스모스코리아가 주력으로 공급하는 Se Series는 초절전·초정밀 하이브리드 사출기로서 30% 이상의 에너지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AC 서보모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으며, 서보모터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40분 내에 1,500rpm까지 가속된다. 이는 유압 시스템의 반응속도를 향상시키고 처리 전환시간을 단축시켜 전체 생산성을 높여 준다. 뿐만 아니라 고급 Non-contact 타입인 Potential Meter 장비 배치로 전통적인 저항타입 변위 전자자 마모로 인한 고장문제를 해결해준다.
“Se Series는 에너지절약, 효율성, 안정성, 저소음, 환경보호, 경제성 등의 요소들을 모두 갖춘 사출기”라며 제품의 장점들을 언급한 윤여진 대표이사는 앞으로 전기 요금이 계속 상승할 것이기 때문에 절전형 하이브리드 사출기는 물론, 전동사출기도 선호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따라서 코스모스 전동사출기도 국내에 선보임으로써 기존 하이브리드 사출기와 함께 코스모스 기계의 시장 점유율을 높일 계획이다.


사출기의 상시 재고로 고객 만족 높이다


코스모스코리아는 실시간 A/S지원체제와 한국형 주문공급 방식을 통해 국내 범용 사출성형기 시장에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윤 대표이사는 “우수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함과 동시에 다양한 서비스로 고객들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꾸준한 성장에 대한 비결을 전했다.
실제로 코스모스코리아는 2014년에 오픈한 대전영업소를 포함해 10개 영업소 및 대리점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A/S 지원 체제를 구축해 해외 브랜드의 취약점인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도록 했다.
또한 사출기를 상시 확보함으로써 빠른 납기가 가능하도록 했으며, 더불어 핵심부품에 대한 사전 확보를 통해 유사시 발생할 수 있는 부품수급 불안요인을 해결했다.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할 일”이라는 윤 대표이사는 “근본적으로 코스모스 사출기는 고장이 거의 없어 고객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계에 대한 자신이 없으면 사출기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았을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


코스모스2.png


본사 확장이전과 함께 새로운 도약 다짐


윤여진 대표이사는 2015년에 대한 계획으로 “코스모스코리아가 플라스틱 사출 분야에서 짧은 기간에 빠른 성장을 이룩해 화성에 본사를 확장, 이전하게 됐다”며, “직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기반으로 앞으로 고객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한국 시장에서의 본격적인 성장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원을 더 보충하고 사출기 재고도 더욱 늘릴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타사 업체와는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이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되겠다”라는 뜻을 밝혔다.
짧은 기간에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으며 국내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코스모스코리아. 새로운 계획으로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그들의 활약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코스모스코리아(주) www.코스모스코리아.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초절전·초정밀 사출기를 공급하는 코스모스코리아(주)
Posted by NO1여기에
인물.jpg
CNS 박무하 대표


<편집자주>
안전사고는 언제나 사람들의 곁에 도사리고 있다. 방심하는 순간에 ‘아차’하고 발생하는 안전사고인데, 특히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인명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렇기에 항상 주의하고, 사전에 대비해야 하는 것이 바로 산업안전이다. CNS는 ‘안전에 안전을 더하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이러한 산업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취재 정대상 기자(press2@engnews.co.kr)



작업 현장에 도사리는 위험 “사전 예방이 중요!”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사고는 근로자의 중상 혹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차대한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상 산업현장에서 안전 관련 지침들은 등한시되기 일쑤다. 그중에서도 특히 사다리와 관련된 사고는 발생빈도가 높다. 예리하거나 무거운 위험 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현장 사용자들이 방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다리와 같은 기구들은 더욱 안전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특히 산업현장의 3대재해인 추락, 협착, 전도와 모두 연관된 기구이기에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1990년 말 대기오염방지시설 등 산업환기전문등록업체로 설립된 CNS(당시 (주)백두환경엔지니어링)는 지난 20여 년 이상의 시간을 산업현장 내 보건 및 안전을 위해 앞장서오며 안전사다리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보건·안전 관련 제품들을 공급해왔다. 

현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클린사업 및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보조공학기기 공급 등록 업체로 지정된 동사는 이 밖에도 크레인흔들림제거장치(C-VIC)을 비롯해 다수의 산업안전용품 및 작업환경개선 설비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1985년부터 산업보건 및 안전과 관련된 업무를 해왔다”는 CNS의 박무하 대표는 “보건협회, 안전보건공단 등에서 근무하며 10여년 이 안전·보건 분야에서 활동해왔고, 현재는 안전사다리를 비롯해 근골격계 질환 유발 작업을 도와주는 제품 등으로 산업계에 이바지하고 있다”며 CNS를 소개했다. 


안전사고 빈번한 사다리에 안전을 더하다
“우리가 보유한 제품 중 안전사다리는 특히 안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며 운을 뗀 박무하 대표는 “산업현장, 건설현장을 비롯해 유통, 서비스 분야까지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는 분야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수칙을 무시하거나, 불량한 사다리를 사용함으로써 재해 및 사망 사고가 빈번하다”며 안전사다리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형태별로 GSK, GSKF, GSP, GSR, GSC, GSI, GWA 등의 안전사다리 라인업을 구축한 동사는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안전사다리를 제안한다. 또한 고객의 요구에 따른 특수사양 역시 대응하고 있다.

CNS가 안전보건공단과 함께 개발한 GSP 모델을 살펴보면 추락 및 전도 방호 장치가 완비된 전문가용 사다리임을 알 수 있다. 유럽안전규격에 따른 TUV 인증을 획득한 이 제품은 안전발판은 물론 불시에 일어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까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캐스터가 있어 제품의 이동이 손쉽고 편리하며 접이식 작업발판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보관에 용이하다. 뿐만 아니다. 높이 조절식으로 제작된 이 사다리는 타 제품과는 다르게 양 발의 높이 조절이 2단으로 가능해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고, 여러 가지 바닥환경에서도 안정감 있는 설치가 가능하도록 레벨러와 전도방지대가 부착되어 있다. 더불어 작업발판을 접거나 펼 때 부착된 자석에 의해 부드러운 접힘작동을 구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했다. 

즉, CNS는 2중, 3중으로 안전에 안전을 더해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안전사고에 대한 경우의 수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R&D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박무하 대표는 “사소한 것에까지 ‘안전에 안전을 더하자’라는 생각으로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며 “특히 1m 이상의 사다리의 경우 안전난간이 없으면 과태료가 부과 되는 등 손해를 보게 되는데 당사의 사다리는 이러한 안전규격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이로 인한 손해를 감수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동사의 안전사다리들은 각 부속들 및 악세사리 부분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도 용이하다.
faz.jpg

신제품 FAZ-120으로 2015년 안전시장 공략
CNS가 올해 상반기에 또 다른 사다리 라인업을 공개한다. FAZ-120으로 명명된 이번 모델은 1.2m 높이에 사면을 모두 난간이 커버하는 제품으로, 안전보건공단과의 수차례 협의를 통해 개발을 진행, 공단이 요구하는 모든 규격을 실현했다.

특히 안전성, 작업의 편리성, 보관성의 중점을 두고 설계됨으로써 기존에 동사의 안전사다리가 지니고 있던 안전성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보관용이성까지 모두 실현했다. 
한편 박무하 대표는 좋은 사다리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사다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라며 “가끔 사다리를 살 때 직접 들어보고 무게가 가벼운 것을 고르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무게가 무거울수록 안전하고 튼튼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그는 “국내 5대 대형할인마트에서 경량화된 사다리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결국 안전성의 하락으로 이어진다”며 안타까워했다.   


C-VIC, 에어밸런스 등 폭넓은 안전기구 라인업 보유
CNS의 또 다른 안전기구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크레인 흔들림 제거장치(C-VIC)이다. C-VIC은 Crane Vibration Control의 약자로서 크레인 무진동 장치를 뜻한다. 이 제품은 천장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 이송 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 이송, 특히 수십t에 이르는 제품의 경우 이송 시 발생되는 관성에 의한 협착 혹은 충돌로 작업자가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C-VIC은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중량물의 진동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이를 통한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제품이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기구들 역시 CNS의 사업 영역 중 하나이다. 

근골격계질환의 경우 상해처럼 직접적으로 눈에 보이거나, 즉발적인 사고가 아니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더욱 방심할 수 있는 분야이기에 더욱 신경써야 되는 분야이다.
동사의 에어밸런스(Are Blance)는 중량물을 들고 옮기는 공정에 사용되는 기계로, 작업의 단순 반복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업자의 육체적 노동 강도를 줄이고, 능률을 향상시키며, 작업의 성력화를 위해 사용된다.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산업안전·보건에 앞장설 것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매해 4~5종 이상의 신제품을 선보이며 산업안전·보건에 앞장서온 CNS는 올 상반기, 안전사다리 FAZ-120 모델을 새롭게 내놓으며 산업안전 전도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의 산업 분야를 넘어 서비스업종까지 타깃시장으로 삼은 박무하 대표는 “5대 대형 할인마트를 비롯해 소규모 매장 등에서도 사다리를 사용하지만, 대부분 불안전한 사다리들이다”라며 “이러한 부분들을 안전사다리로 대체할 수 있도록 개발과 제조를 진행할 것”이라며 신규 시장 확보를 위해 노력할 뜻을 밝혔다. 

아울러 그는 “새로운 안전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들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기업 혹은 기관과의 MOU를 체결함하고 융합된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개발과 판매를 병행할 수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해 작업 현장의 안전과 보건을 위해 매진할 것”이라는 포부를 전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안전과 보건의 중심에 선 CNS
Posted by NO1여기에

신용.JPG

신용시스템 하상춘 대표



온도센서, 레벨센서, 온도제어기기 제작 전문기업 신용시스템은 열전대 제작, 특수 온도센서, 측온저항체, 온도제어 판넬, SCR UNIT, 온도조절계, 범용 온도센서 등을 취급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자동제어와 범용 온도센서 분야에서 활약 중인 신용시스템의 하상춘 대표는 수년 전부터 본인만의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온도센서를 제작해오고 있다. 흥미로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어져온 그의 열정에서는 남다른 자부심이 느껴졌다.


yeogie_com_20150324_104533.jpg

온도센서



온도센서 제작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신용시스템은 특히 온도센서와 레벨센서에 대해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온도센서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적었던 것과 반대로 이 분야에 더욱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라고 운을 뗀 하 대표는 주로 생산 중인 200℃ 전후의 온도에 사용되는 범용 온도센서 뿐만 아니라, 1,800℃에서도 측정 가능한 고온 감지 센서를 개발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활용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레벨센서.jpg

레벨센서



다른 분야에 비해 다소 열악한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13년째 온도센서 사업을 유지해올 수 있었던 비결을 ‘신용’이라고 설명하는 하 대표는 실제로 항상 고객의 수요와 납기일에 맞추기 위해 이른 출근과 늦은 퇴근을 마다하지 않는다. “스스로 내건 ‘신용’이라는 이름에 먹칠하지 않기 위해 항상 노력하는 것 또한 제품의 개발만큼 중요하다.”라는 하대표의 열정만큼, 새로운 제품의 개발 또한 기대해본다.


신용시스템 http://blog.yeogie.com/hasc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신용시스템, 오랜 노하우가 축적된 온도센서 및 레벨센서로 경쟁력 높여
Posted by NO1여기에

운반기계 및 화물용리프트 & 특수사양 제작 전문기업 (주)국제물류기계는 풍부한 경험과 기술로 물류·운반 산업에서 높은 인지도를 구축하고 있다.


(주)국제물류기계의 보행식전동지게차의 경우, 리치 기능으로 편리한 화물 운반작업이 가능하며, 리치기능과 틸트기능으로 편리한 물류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한 조작, 편리한 안전장치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어디서나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고, 고장률이 적은 전자제어방식으로 탁월한 힘이 장점이다. 


운반1.png

보행식전동지게차



또한 전동핸드파렛트트럭은 각종 중량물의 신속한 운반이 가능하며, 원거리 이송시 적합한 제품이다. 사용이 편리하고 모두 전동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공장, 창고, 슈퍼마켓, 화물터미널, 유통센터 등 어디에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운반2.png

전동핸드파렛트트럭



수동테이블리프트와 전동테이블리프트는 프레스 전단기 앞에 상·하강 높이 조절용으로 설치 가능하며, 휠 부착으로 작업자 이동이 용이하다. 이 제품은 금형운반 및 소형 작업대로 적합하다.


운반3.png

수동테이블리프트


운반4.png

전동테이블리프트



(주)국제물류기계 www.klift.co.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국제물류기계의 전동지게차, 편리한 작업으로 고객들 호평
Posted by NO1여기에

열전사 마킹

2015. 3. 13. 14:44 : 산업뉴스
제품코드G052916[G052916] 열전사 마킹
판매 회사명아이엠스코리아
연락처053-528-6540
홈페이지-
제품홍보관http://blog.yeogie.com/ysnoh
열전사 마킹

열전사 마킹

열전사 마킹

열전사 마킹

열전사 마킹

열전사 마킹

열전사 마킹

Posted by NO1여기에

잉크젯 가공

2015. 3. 13. 14:41 : 산업뉴스
제품코드G052914[G052914] 잉크젯 가공
판매 회사명아이엠스코리아
연락처053-528-6540
홈페이지-
제품홍보관http://blog.yeogie.com/ysnoh
잉크젯 가공

잉크젯 가공

잉크젯 가공

잉크젯 가공

잉크젯 가공

잉크젯 가공

잉크젯 가공

잉크젯 가공

잉크젯 가공

Posted by NO1여기에

잉크젯 마킹

2015. 3. 13. 14:34 : 산업뉴스
제품코드G052912[G052912] 잉크젯 마킹
판매 회사명아이엠스코리아
연락처053-528-6540
홈페이지-
제품홍보관http://blog.yeogie.com/ysnoh
잉크젯 마킹

잉크젯 마킹

잉크젯 마킹

잉크젯 마킹

잉크젯 마킹

Posted by NO1여기에

2.jpg

 

지난 20여년 간 고무와 플라스틱 가공기계 제조기술의 집약과 기술의 국산화, 다양한 품목의 기계 개발에 주력해온 한도기공이 KOPLAS2015 기간 중 자사의 기술력을 과시했다. 

 

동사는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 전선, 전기, 전자기기, 의료용품, 스포츠용품, 생활용품 등의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최초 단계에서 압출성형의 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비를 제작하고 있다. 

 

특히 비경화 고무 압출 시트 생산라인과 면테이프 자동화라인, RSM 라인 설비 중의 냉각장치인 드럼 베치 오프 등 세계 최초 특허제품들을 다수 보유함으로써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IMG_4680-horz.jpg 

 

이번 전시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제품은 국내 최초로 개발된 Drum Rotary Batch Off M/C이다. 이 제품은 50~1,000㎜까지 고무시트 냉각이 가능한 제품으로, 바람으로 말리는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냉각수를 이용함으로써 빠른 냉각효과와 더불어 기온 등 주변 환경적 요인과 상관없이 냉각이 가능하다. 

 

더불어 메인 전원만 연결하면 별도로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이 필요없어 뛰어난 전력효율을 자랑하며 기존 제품대비 콤팩트해 공간활용도가 뛰어나다. 

 

한도기공의 황성연 대표이사는 "빠른 생산속도와 운영 인력 감소, 전기 소모량 감소, 뛰어난 작업안정성을 비롯해 고무시트의 오염 방지 효과도 뛰어나다"며 "국내 최초로 개발된 기계이며, 국내에서 유일한 특허제품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기존의 카렌다에서 생산이 불가능했던 시트를 생산할 수 있는 DIES 역시 참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DIES는 RUBBER 및 플라스틱 시트 생산이 가능한 기계로, 이 기계 역시 특허로 등록되어 있다. 이 기계는 기존의 카렌다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작업시간 및 공정을 단축시켰으며, 설치공간 역시 최소화됐다. 기계 자체의 기능 역시 더욱 다양해졌다. 

 

생산량이 우수하고, 정밀한 시트 가공이 용이하며, 폭 50~3,000㎜ 이상, 두께 0.1~50㎜ 이상까지 가공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한도기공은 특수 설계된 스크류를 적용해 혼련성을 극대화하고 균일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진공압출니더 등을 선보였다. 

 

한편 KOPLAS2015는 INTERMOLD2015, HARFKO2015와 함께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펼쳐지고 있다. 

 

(주)한도기공 www.hando21.co.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한도기공, 기존과 차별화된 고무가공기계로 이목 '집중'
Posted by NO1여기에